전체 글92 AndEngine4 - Scene의 전환 블로그 메인에 사진이 퍼렇게 뜨길래 로고를 하나 넣어봤다. 그림 출처 - http://www.andengine.org/ 근데 적용이 안되고 계속 파란색이 뜬다... 이거 어케하나요??? -> 고쳤으 다른 Scene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터치하면 전환되도록 구현하자. 1. scene2 추가터치하면 scene2를 생성하여 전환하는 구조로 가려고 한다.scene2를 멤버변수로 선언하고 scene2를 생성하는 함수를 만들자.private Scene scene, scene2;...public void MakeScene2() { scene2 = new Scene(); scene2.setBackground(new Background(0xffffff, 0x0, 0x0)); //red } 2. scene전환구현.. 2015. 2. 18. AndEngine3 - Scene Touch Event 이번에는 화면 어디든 터치하면 처리할 수 있도록 scene touch event를 정리하려고 한다. 뜨... 오늘 설연휴 첫날.. 작업에는 명절도 없다~~~ 터치이벤트는 매우매우 간단하다. scene touch event를 처리할거니까 관련된 처리함수를 구현한다. 텍스트상자 핑크색 이뿌당... *.*public class MainActivity extends SimpleBaseGameActivity implements OnClickListener, IOnSceneTouchListener {먼저, 위와 같이 IOnSceneTouchListener 를 implement해주면 unimplemented method를 추가하라고 에러가 뜬다.추가하면 scentouch 처리함수가 나타나니까... 내부에 처리할 내용.. 2015. 2. 18. AndEngine2 - Button Sprite (Button Click Event 처리) 이벤트 발생과 처리가 필요하므로 1. Button 생성먼저 버튼으로 쓸 이미지를 준비한다. game start버튼을 보통(?)/클릭시 두가지로 준비했다.이미지는 일반 android project와 다르게 assets/gfx 디렉토리에 넣는다. 그 이유는 나중에 포스팅하겠다. 소스에서 버튼이미지를 불러온다. 리소스를 가져오는 것이므로 아잌ㅋ 소스까지 다 스샷찍어서 올리기 귀찮다. 복붙해야private BuildableBitmapTextureAtlas mBitmapTextureAtlas;private ITextureRegion mFace1TextureRegion;private ITextureRegion mFace2TextureRegion; @Overrideprotected void onCreateResour.. 2015. 2. 18. AndEngine1 - 프로젝트 생성 AndEngine을 사용하는 프로젝트 생성하기. 아~~~~막무가내 포스팅이다 1. AndEngine download 및 library로 설정http://www.andengine.org/AndEngine 라이브러리를 위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는다.위 사이트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이 나오는데, 가운데 빨간색 동그라미친 source를 누르면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한다. 다음 화면에서는 github로 넘어가고... download ZIP을 누르면 다운로드가 된다. 다운로드 받았으면 eclipse에서 import를 해주자. workspace 우클릭 후 import를 클릭. 다운받은 AndEngine-GLES2를 선택해주면 된다. 다음과 같이 추가되었다면 AndEngine 프로젝트를 우클릭하여 Properties로 .. 2015. 2. 17. WindowsCE6.0 Driver 3 - PDD / MDD PDD / MDD 이들은 무엇인가.아직 소스파일을 건드려본적은 없지만 가끔 한 드라이버가 PDD와 MDD로 나뉘어진 경우를 본다.내용을 건드려본 적이 없어서 걔네들이 뭘하는 애들인지 모르겠다.그래서 내용 조사를 좀 해보려 한다. Windows CE의 Driver는 PDD와 MDD 두개 층으로 나뉜다고 한다.PDD : Platform Device DriverMDD : Model Device Driver 되게 좋은 그림을 퍼왔다. (출처 : http://xenostudy.tistory.com/170)더 설명이 필요 없는것 같다.MDD는 각 드라이버의 공통부분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일반적인 부분은 구현되어있다.PDD는 H/W적인 특성에 따라 개발자가 구현해야하는 부분으로써, MDD를 통해 Application.. 2015. 1. 2. WindowsCE6.0 Driver 2 - build 및 OS에 포함시키기 앞에서 정리한 내용대로 driver폴더트리를 맞추고 폴더내용을 채우고 나면 OS에 등록하기 위한 과정이 필요하다.1. 드라이버를 OS에 등록먼저, OS에게 이 드라이버가 OS의 일부라고 알려주기 위해 registry에 드라이버를 등록해준다.registry라는 단어를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windows의 registry는 H/W, S/W에 관한 모든 data들을 기록하는 database의 역할을 한다.그러므로 driver도 여기에 등록해주어야 한다.DRIVERS폴더와 같은 경로에 FILES라는 폴더가 있다.이 폴더 내에 있는 platform.reg에 내용을 적어주면 된다.driver 등록시 registry 내용 입력하기 : 예를 들어 buzzer드라이버를 등록하는 경우이다.[HKEY_LOCAL_MACHIN.. 2015. 1. 2. 이전 1 ··· 12 13 14 15 16 다음